DAILY NEWS_ 2018.6.7 (목)
본문
DAILY NEWS_ 2018.6.7 (목)
1. "부산항 부가가치 높이자" 항만 연관산업 뭉쳤다
정부와 부산항만공사가 부산항 부가가치를 높이기 위해 항만연관산업 육성을 추진하는 가운데 부산 지역 관련 업계가 총연합회를 만들어 본격적인 협업 체제 구축에 나섰다.
가칭 '부산항만산업총연합회'는 지난 4일 부산항국제전시컨벤션센터(BPEX)에서 창립총회를 열었다. 이날 총회에 참여한 단체는 부산항만산업협회, 한국선용품산업협회,부산국제선용품유통사업협동조합, 한국급유선선주협회, 한국선박수리공업협동조합, 한국해양플랜트선박수리협동조합, 한국검수검증협회 부산지부 등 7개 협회·조합이다.
선박수리·선용품·급유선 등
7개 협회·조합 대표 모여
부산항만산업총연합회 구성
마케팅·인재 양성 등 협업
대정부 건의 선택·집중 효과
이들 단체 대표들은 총회에서 총연합회 회장으로 항만산업협회와 선용품 협회·조합을 동시에 이끌고 있는 김영득 회장을 추대했다.
또 연합회 정관 초안을 검토하고 이번주 중 협회·조합별 의견 수렴을 마무리지은 뒤 다음주 중 해양수산부에 법인설립 허가 신청서를 제출하기로 했다.
사단법인 형태로 출범하는 항만연관산업총연합회는 법인 등기가 마무리되면 별도 인력과 공간으로 사무국을 구성, 현판식을 연 뒤 본격적인 사업 추진에 나서기로 했다.
업계가 이렇게 자발적인 연합회 구성에 나선 것은 변화하는 업황과 정책에 대한 공동 대응 필요성이 높아졌기 때문이다.
부산항은 물동량 유치와 하역 이외 산업 분야에 대한 정책 당국의 관심이 소홀했다. 경쟁 항만에 비해 부가가치 창출이 확연히 떨어지고, 개별 업체 역량으로만 버티기엔 산업 기반이 취약했다. 업체 영세화, 과당 경쟁, 수익률 저하가 악순환했다. 업종별 협회·조합이 제각각 내는 목소리는 정책 당국의 주목을 끌지 못했다.
정부와 부산항만공사(BPA)가 지난해 물동량 2000만TEU(1TEU=20피트 컨테이너 1개) 달성을 계기로 연관산업 실태 조사와 육성 계획 수립에 나서자, 나뉘어진 협회나 조합이 제각각 목소리를 내는 것보다 조직을 갖춰 체계적으로 대처할 필요가 있다고 업계 스스로 판단한 것이다.
향후 총연합회는 정부나 BPA가 시행하는 연관산업 육성 정책을 함께 논의할 주체로 나선다. 선택과 집중을 통한 산업 지원 정책의 효율을 높이고, 각 업계가 추진하는 사업을 조율해 협업 체계를 구축할 것으로 기대된다.
우선은 각 단체가 가장 필요로 하는 해외 마케팅과 젊은 인재 양성이 협업의 첫 걸음이 될 전망이다. 해외 시장 홍보, 업종별 맞춤형 교육 등을 담당할 분야별 전문위원회를 구성해 회원사 수요에 대응하고, 업계 동향 분석과 실태 조사, 산업 진흥 정책 건의도 총연합회 차원에서 추진해 나갈 방침이다.
김영득 회장은 "정부 정책의 관심 밖에 있던 항만 연관 산업계가 총연합회를 구성했으니, 업계 역량을 높이고 부산항의 가치를 높이는 데 구심점 역할을 하겠다"고 말했다.
(부산일보 2018.06.06.)
2. 해수부, 광양항에 '한국형 스마트항만' 시범 구축
사업비 396억원 투입 테스트베드 구축…연관산업 육성 및 해외진출 위한 '트랙레코드' 확보 목표
광양항에 컨테이너 하역부터 이송까지 모든 작업 과정을 자동화한 '한국형 스마트항만'이 시범적으로 구축된다. 부산항 신항 등에 '스마트 항만' 구축을 추진 중인 정부는 광양항을 '테스트베드(test bed)'로 삼아 항만자동화 기술을 고도화함으로써 벌어진 세계시장과의 격차를 좁히겠다는 복안이다.
6일 항만업계에 따르면 해양수산부는 광양항 컨테이너부두 1단계 자리에 국비 298억원을 포함한 총 사업비 396억원을 투입해 스마트항만 시범사업을 추진한다. 완전 무인자동화 부두 시스템 구축 사업과 별개로 항만 자동화 관련 국내 기술을 개발하고 관련 국내 기업들을 육성하기 위한 것이다.
2013~2017년 국가 R&D사업 일환으로 총사업비 48억원을 들여 개발한 국산 항만 자동화 시스템을 실제 크기로 구축하고 성능을 검증, 보완할 계획이다. 여기에 사물인터넷(IoT)·인공지능(AI) 등 보다 높은 단계의 기술을 접목함으로써 '한국형 스마트항만'의 가능성을 테스트할 예정이다.
항만 자동화 시스템은 크레인, AGV(무인이송차량), 장비 자동제어기술, 터미널 운영 프로그램 등으로 구성된다. 이번 사업에 참여하는 서호전기 등 국내 항만 관련 민간기업의 경우 자동제어기술, 터미널 운영 프로그램 등의 분야에서 중국, 유럽 등 자동화 항만 구축사업에 일부 참여할 정도의 기술력을 갖추고 있다.
하지만 AGV 등 핵심 기술의 상당수를 해외에 의존해야 하는 데다 독자적인 스마트 항만 구축 실적이 없어 해외시장을 주도하기는 쉽지 않다. 해수부는 이번 시범사업을 계기로 국내 연관산업을 육성은 물론 해외시장 진출을 위한 '트랙레코드'(track record, 실적)도 확보하겠다는 복안이다.
시범사업은 부산항 신항 등에 완전 자동화 시스템을 구축하는 '항만 자동화 선도사업'과는 별도로 진행된다. 항만 자동화 선도사업 대상인 부산항 신항 서컨테이터부두 2-5단계(2022년 개장 예정), 2-6단계(2024년 개장 예정)의 경우 일정이 촉박해 국산 스마트 항만 기술의 개발과 검증을 할 여유가 없어 이미 상용화된 기술을 적용해야 할 상황이라는 설명이다.
해수부 관계자는 "글로벌 항만 경쟁력 확보를 위한 혁신 항만 구축이 시급한 만큼 항만 자동화 선도사업과 광양항 시범사업을 투 트랙으로 진행할 계획"이라며 "세계적 수준에서 다소 뒤쳐진 현상황을 역전시키기 위한 전략적 판단"이라고 말했다.
(머니투데이 2018.06.06.)
3. 군산 대 중국 교역 창구로 우뚝
군산이 대 중국 교역 창구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특히, 전북 유일의 대 중국 직항로 군산 ~ 중국 석도간 카페리가 지난 4월 4일부터 주 3항차에서 6항차로 증편되면서 인·물적 교류가 확대하고 있다.
항로 선사인 석도국제훼리㈜(대표이사 김상겸)에 따르면 지난 5월 한 달 카페리를 이용해 군산과 중국을 오간 승객은 2만5천168명으로 지난해 같은 달 1만5천979명 대비58% 증가했다.
화물 역시 상승세를 탔다.
지난해 1천940TEU( 1TEU= 20피트 컨테이너 1개) 대비 30% 늘어난 2천514TEU로 집계됐다.
항로 증편이 이뤄진 단 시일 내 나타난 실적을 감안하면 매우 고무적이다.
물동량 감소로 어려움을 겪는 군산항에 활기를 불어넣고 중국 관광객 유치로 지역경제 활성화에 견인차 역할이 기대되는 대목이다.
무엇보다도 군산과 석도 항로는 많은 강점을 갖고 있다는 게 이 분야 전문가들의 중론이어서 향후 전망을 밝게 비추고 있다.
실제로 군산항은 중국 동부의 주요 항만과 최단거리다.
게다가 군산- 석도 항로 주변이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한중경제협력단지와 식품클러스터단지 구축 등으로 물류 수요의 급증이 예상되고 있다.
또한, 군산항 주변은 중국인 관광객 발길을 이끌 수 있는 관광자원으로 둘러싸여 있다.
군산항과 1시간 거리에 전주한옥마을, 군산 근대문화지구, 고군산군도, 유네스코 세계유산인 백제역사 유적지구가 있다.
김상겸 대표는 “항차 증편이 초반이긴 하지만 승객과 화물의 상승세를 피부로 느끼고 있다”며 “이 항로가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대 중국의 무역과 관광 항로로 거듭날 수 있도록 이용객들에게 최상의 서비스 제공과 화물 유치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군산과 석도항로에는 신조선 1척을 포함 2척의 카페리가 운항중이다.
기존 카페리(선명: 스다오호)는 화·목·일, 신조선(선명:뉴 스다오 펄·NEW SHIDAO PEARL)은 월·수·토요일에 각각 군산항에서 출발한다.
‘스다오’는 승객 정원 750명과 최대 203TEU 컨테이너 화물 적재가 가능한 1만7천22톤급 규모다.
신조선 ‘뉴스다오 펄’은 1만9천950톤 규모에 선장 170m·선폭 26.2m·선속 23노트로, 최대 승객 1천200명과 컨테이너 250TEU를 싣고 군산과 석도를 10시간 내 오가고 있다.
(전북도민일보 2018.06.06.)
4. [비즈 프리즘] 아프리카 해적 막는데 연간 70억 달러 … 해운업 골머리
박경덕의 아프리카 아프리카
2010년 봄, 신혼여행지로 유명한 인도양의 섬나라 몰디브를 찾은 적이 있다. 당시 지구 온난화에 대한 경각심을 일으키기 위해 바닷속에서 내각회의를 열어 세계 이목을 집중시킨 모하메드 나시드 대통령을 인터뷰하기 위해서였다. 수도 말레의 대통령궁 앞 바닷가 벤치에서 인터뷰 시간을 기다리는 동안, 천혜의 관광지와 전혀 어울리지 않는 군함들이 줄지어 이동하는 모습을 목격했다.
올해 1분기, 해적사건 53% 급증
외국 어선 불법조업이 해적 원인
기니만 해역서 가장 많이 출몰
그 날은 그곳에서 1000㎞가량 떨어진 소말리아 해역에서 한국 유조선 삼호드림호가 해적에 납치된 다음 날이었다. 나시드 대통령을 인터뷰하면서 몰디브는 소말리아 해적으로부터 안전한지 물었다. 나시드 대통령은 “몰디브 어부는 아주 강한 사람들이기 때문에 지금까지 해적이 우리 어부를 건드린 적은 한 번도 없다”고 웃어넘겼다. 그 말이 사실이라면 몰디브 어부들은 운이 좋은 것이다. 국제해사국(IMB) 해적신고센터에 따르면, 2010년 해적의 공격이 가장 많았던 바다가 몰디브 북서쪽으로 펼쳐진 아라비아해였다.
IMB가 해적 사건 집계를 시작한 1993년 이후 가장 많은 사고가 보고된 해는 2000년이다. 그해 모두 469건의 해적 공격이 보고됐는데, 인도네시아(119건)와 말라카 해협(75건)이 전체의 41%를 차지했다. 당시만 해도 소말리아(9건)나 기니만(13건) 등 아프리카 주변 해역은 그 비중이 미미했다. 하지만 2008년을 기점으로 소말리아 해적의 활동이 폭발적으로 늘어났다. 소말리아 해적은 소말리아 앞바다뿐 아니라 아덴만, 홍해, 아라비아해, 인도양, 그리고 오만 앞바다까지 종횡무진으로 활동했다. 2008년 111차례 민간선박을 공격했고, 2009년부터 3년 동안은 각각 218회, 219회, 237회로 연간 200회를 넘어서면서 약탈 행위가 절정에 달했다.
영국의 BBC방송은 지난해 5월 소말리아 해적을 다룬 특집기사에서 “2010년과 2011년, 소말리아 해적 때문에 세계 해운산업은 민간 경비 팀 고용 등으로 매년 최대 70억 달러의 안전 비용을 추가로 들여야 했다”고 보도했다.
나토와 유럽연합(EU) 연합함대(Navfor), 그리고 미 해군 주도 연합해군사령부(Combined Maritime Forces)가 힘을 합쳐 아덴만에서 아라비아해를 지나는 해사안전통항로(Maritime Security Transit Corridor, MSTC)를 확보하고 경비에 나선 것도 이 무렵부터다. 이러한 국제사회의 노력 덕분에 2012년부터 소말리아 해적의 움직임은 크게 위축됐다. 그해 75차례 공격에 이어, 2013년과 2014년에는 각각 15번과 11번에 그쳤고, 급기야 2015년에는 소말리아 해적의 공격 사례가 한 건도 보고되지 않았다. 2016년과 2017년에도 각각 2건과 9건에 그쳤다. 소말리아 해적의 공격이 감소하면서 전 세계 해적사건 발생 건수도 크게 줄어, 지난해에는 1995년(188건) 이후 최저치인 179건을 기록했다.
한숨 돌리나 싶은 순간, IMB의 해적 경보음이 다시 울렸다. IMB가 올해부터 다시 해적 사건이 늘어나고 있음을 보여주는 보고서를 지난달 발표한 것이다. IMB는 “2018년1분기에만 66건의 해적사건이 발생, 2017년 1분기(43건)보다 53% 늘어났다”고 밝혔다. 아직 1분기 기록이긴 하지만 이러한 추세가 연말까지 이어진다면, 지난해 연간 179건을 크게 뛰어넘어 2013년 수준(264건)까지 올라갈 수 있다는 계산이 나온다.
해적의 약탈도 난폭해지는 양상이다. 올해 1분기 모두 39척의 배에 해적이 진입해 11척에서 총기를 사용했고, 선원을 납치한 경우도 네 건이나 됐다. 전년 동기 대비 총기 사용 건수는 세 배가량, 납치 건수는 두 배로 늘어난 것이다. 이에 따라 전 세계적으로 100명의 선원이 인질로 잡혔고, 14명이 납치됐다.
올해 들어 해적 사건이 다시 늘어난 주원인은 아프리카 서부 기니만 해역에서 활동하는 해적의 공격이 잦아진 때문이다. 올 1분기 기니만 해역에서만 29건의 해적 공격사례가 보고되면서 전 세계 해적사건의 44%를 차지했다. 특히 1분기 중 선박과 선원을 납치한 4건의 해적사건이 모두 기니만에서 발생했다. 1월 중순과 2월 초 베냉의 남부 항구도시 코토누에서 석유제품운반선 두 척이 납치됐으며, 3월 말에는 나이지리아와 가나 앞바다에서 두 척의 어선이 납치됐는데, 그중 하나가 우리 국민 3명이 탄 어선 ‘마린 711호’ 였다. IMB는 “기니만 해역에서 활동하는 해적은 무장이 잘 돼 있고 잔인하다”며 “특히 나이지리아 남부 바이엘사, 브라스, 보니 아일랜드 앞바다에서 선원 납치 사례가 급증해 특별한 조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렇다면 아프리카 해역에서 해적 활동이 끊이지 않는 이유는 무엇일까. 이에 대해 BBC는 “현지에서 자행되는 외국 어선들의 불법 조업 이슈와 관련이 있다”고 보도했다.지난해 3월 소말리아 앞바다에서 붙잡힌 해적은 BBC 인터뷰에서 “외국 어선들이 불법 조업으로 어자원을 고갈시킬 뿐만 아니라 현지 어선들을 공격하기도 한다”고 말했다. 어업으로 생계를 유지하는 사람들의 삶의 터전을 외국 어선들이 망쳐버렸다는 얘기다. 외국 어선들이 아프리카 바다에서 불법 조업을 일삼는 이유는 이곳이 붙잡힐 위험성이 낮은 데다, 설사 잡힌다 하더라도 벌칙이 가볍기 때문이라고 BBC는 덧붙였다.
기니만 해역도 마찬가지다. 16세기부터 어업 및 교역항구가 발달한 기니만 연안은 도미·고등어·새우 등 어족 자원이 풍부하다. 어업과 관련된 직간접 일자리만 현지 고용의25%를 차지한다는 통계도 있다. 그런데 이런 황금어장에서 외국 원양어선들이 남획을 일삼으면서 현지 어민들은 점점 더 설 자리를 잃어가고 있다.
애초 소말리아가 해적의 본거지가 된 것은 국가 체제가 사실상 붕괴한 상태에서 어부들이 생계를 위해 대거 해적질에 나섰기 때문이다. 나이지리아 등 기니만 연안 국가 해적도 같은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 아프리카 해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아프리카 국가들의 정치적 안정과 함께 현지 주민들의 삶의 터전을 지켜주는 조치가 반드시 필요함을 말해주는 대목이다.
박경덕 포스코경영연구원 수석연구원·국제관계학 박사
(중앙일보 2018.06.07.)
5. 팬오션, 8년만에 컨테이너선 신조 발주
현대미포조선과 5000만弗 규모 1800TEU 2척 계약
팬오션이 8년 만에 컨테이너선 신조에 나선다.
5일 업계에 따르면 팬오션은 현대미포조선에 1800TEU급 컨테이너선 2척을 신조 발주했다.
신조선은 내년 하반기와 내후년 상반기에 1척씩 인도될 예정이다. 팬오션이 현대미포조선에서 배를 짓는 건 이번이 처음이다. 신조선엔 황산화물 배출 규제에 대응해 황산화물 저감장치(스크러버) 설치 공간을 확보하는 설계가 적용된다.
회사 측은 선가를 밝히지 않았으나 시장에선 척당 2500만~2600만달러 사이로 보고 있다. 선박 확보에 5000만달러 가량을 투자하는 셈이다. 신조 계약은 정부에서 추진하는 선박 신조 지원 프로그램과는 무관하게 진행된다.
이로써 팬오션은 2010년 이후 8년 만에 신조 컨테이너선 도입을 확정했다. 5년여 만에 동남아항로용 선박을 확보한다는 점도 의미가 깊다.
이 선사는 법정관리 전까지 8척의 자사 컨테이너선을 운항했다. 당시 선단의 절반인 4척이 2008년 이후 지어진 신예선이었다. 1700TEU급 2척이 2008년 독일 노르딕야즈, 2700TEU급 2척이 2009년과 2010년 중국 광저우원충조선에서 각각 건조됐다.
회사가 법정관리에 들어가면서 대출금이 많이 남아 있던 저선령 선박은 모두 매각됐다. 1700TEU급 선박들은 2014년 1~2월 싱가포르, 2700TEU급 선박들은 2013년 11월 독일 선주사 품으로 각각 향했다.
선대 중 1985년에 지어진 600TEU급 선박과 1991년에 지어진 1300TEU급 선박 등 노후선 2척은 해체의 길을 걸었다.
현재 팬오션이 보유한 선박은 2척뿐이다. 700TEU급 <포스도쿄>와 <포스요코하마>다. 1997년 3월과 이듬해 7월 한진중공업에서 지어졌다. <포스요코하마>호는 이 선사의 한국-상하이·닝보 노선을 운항 중이고, <포스도쿄>호는 다른 선사에 대선돼 한일 구간을 오가고 있다.
팬오션은 1800TEU짜리 신조선 도입으로 동남아항로에 용선이 아닌 사선을 넣을 수 있게 됐다. 이 선사는 남성해운 동진상선과 공동운항하는 태국·베트남항로에 임차한1760TEU급 선박을 띄우고 있다.
회사 관계자는 “오랜만에 신조 컨테이너선을 도입함으로써 서비스 경쟁력을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며 “아직 어느 노선에 배정할지 확정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코리아쉬핑가제트 2018.06.05.)
6. 금년 정기선사 선복량, 전년비 9.1% 증가
금년 들어 처음 5개월 동안에 13개 대형 컨테이너 선사들이 운영하는 선복량은 2017년 동기대비 9.1% 정도 증가했다고 Alphaliner는 밝혔다.
Zim은 24.5%의 증가세로 가장 크게 성장한 반면에, 현대상선은 24.6% 하락하면서 유일하게 하락을 기록한 선사이다. 현대상선은 2M 선박에 대한 슬롯 구매를 중단할때,대서양 횡단 노선을 종료할 것이라고 최근에 발표했다.
다른 12개 선사들이 제공하는 선복량의 증가를 살펴보면, 그들이 수익성 보다는 시장 점유율을 위해 다시 경쟁하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Alphaliner는 2018년 들어 처음 5개월과 2017년의 같은 기간 사이에 평균 CCFI 운임이 7% 정도 하락한 반면에, 벙커 가격은 47% 정도 급등했다고 지적했다.
Alphaliner는 지난 5월 14일 현재 계선 선단의 선복량은 지난달의 96척에서 81척으로 하락했으며, 선복량 역시 지난 4월의 42만 7,865TEU 대비 22만 7,865TEU로 하락했다고 밝혔다.
지난달의 22척 대비 총 9척의 선박이 최소 7,500TEU급 이상의 선복량을 갖고 있으며, 지난달의 9척 대비 그중에 2척의 선복량이 적어도 1만 2,500TEU급이다.
계선 선단은 총 가용 선복량의 1.0%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는 지난달의 2.0%에 비해 감소했다.
IHS Markit이 제시한 유로존의 5월 제조업 PMI(구매관리자 지수) 지수는, 4월의 56.2에서 55.5로 하락하면서 지난 15개월내 최저 수준으로 하락했다. 또한, 제조 PMI 생산량도 4월의 56.2에서 54.5로 18개월내 최저치를 기록했다.
Eurostat(유럽연합 통계청)은 2월과 3월 사이에 유로 지역의 소매 거래 규모가 0.1% 증가했다고 발표했으며, 이는 전년대비 0.8% 정도 증가한 수치이다. 비-식품 판매량(자동차 연료 제외)은 전년대비 0.3% 증가한 반면에, 식품, 음료수 및 담배는 1.4% 증가했다. 비-식량 제품의 우편 주문 및 인터넷 판매는 전년대비 6.5 % 증가했다.
영국 통계청(Office for National Statistics: ONS)은 3월과 4월 사이에 구매 물량이 1.6% 증가했다고 보고했으며, 이는 전년대비 1.4% 정도 증가했다.
ONS는 "오랜 기간 동안에, 소매 판매 증가율은 상당히 둔화되었고, 음식, 생활 용품 및 인터넷 소매 업체의 증가는 다른 모든 소매 유형의 감소로 크게 상쇄되었다”고 밝혔으며, "지난 4월에 지출된 금액은 3월 대비 1.6% 정도 증가했고, 전년대비 3.5% 정도 증가했다"고 밝혔다.
또한, 영국의 제조업 PMI 지수는 3월의 54.9에서 4월에 53.9로 하락했다고 Markit/CIPS(영국의 시장 조사기관)가 보도했다.
(쉬핑데일리 2018.06.05.)
7. 글로벌 선주들, 친환경 선박해체소 강조
BIMCO, ECSA, ICS 및 INTERTANKO의 참석한 가운데 아시아선주협회(Asian Shipowners' Association: ASA)가 주관한 전세계 선주 미팅에 참석한 회원들은 홍콩 협약에 대한 공약을 재확인했으며, 환경적으로 지속 가능한 선박 재활용에 대한 글로벌 솔루션의 필요성을 지지했다.
참석자들은 2009년도에 시행된 안전 및 환경 친화적인 선박의 재활용(Safe and Environmentally-Sound Recycling of Ships)에 관한 홍콩 국제 협약(Hong Kong International Convention)이 효과를 낼수 있도록 다음 단계를 고려하기 위하여 홍콩에서 관련 회의를 가졌다.
특히, 유조선 부문에서, 2018년도에 선박 재활용에 대한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지적했으며, 전세계에서 홍콩 협약을 준수하는 선박 재활용 시설의 숫자를 확대해야 할 필요성이 있음을 검토한 이후에, 관련업계 공동의 회의에서 HKC(Hong Kong International Convention for the Safe and Environmentally-Sound Recycling of Ships)의 발효가 중요하다는 점에 대해서 동의했다
ASA는 “그러나, HKC를 시행하려면, 선박 재활용 국가들이 선박 재활용의 기준을 향상시키고 HKC를 비준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이와 관련하여, 참여 협회들은 회원 협회들이 각국 정부에게 HKC의 비준 절차를 신속하게 추진하도록 권장할 것이다”고 별도의 공동 성명서를 통해서 밝혔다.
협회측 관계자는 "각국 협회가 그들의 정부에게, 선박 재활용 국가의 관계자들과 이야기할 기회가 있을때 의제의 하나로써 포함하여, HKC의 비준을 요청하도록 독려할 것이다"고 말했다.
협회측 관계자는 "또한, 그들은 모든 선박 재활용 국가가 HKC를 비준하도록 장려하고, IMO 및 그 회원국들에게 정부, 재활용업체, 노동자, 선주 및 감독 기관 등을 포함하여 이해 관계자들간 활동의 중심 역할을 할 수 있도록 IMO 산하에 HKC의 조기 제정을 위한 팀을 설립하도록 설득할 것이다"고 말했다.
이번 회의에 참가한 협회들은 유럽 연합 선박 재활용 규제(EUSRR: European Union Ship Recycling Regulation)에 대한 유럽의 상황 및 EU의 재활용 시설 목록도 검토했으며, 금년 12월 31일에 관련 규정이 시행되면, EU의 목록에 시설이 부족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그들은 현재까지 비 EU 선박 해체 조선소가 EU 목록에 포함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이런 관점에서, 이들 협회들은 유럽 위원회가 유럽 외부의 시설을 포함하여 EU 목록의 재활용 용량을 늘릴것을 촉구하고 있다.
(쉬핑데일리 2018.06.05.)
8. 5월 BIS 소폭 하락, 6월 긍정 전망
컨선부문 양호, 유조선부문 최저치 경신
5월 해운업 경기실사지수(해운업 BSI)가 전월대비 소폭 하락했지만, 6월 전망은 긍정적이었다.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의 2018년 5월 해운업 경기실사지수(해운업 BSI)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이같이 나타났다.
5월 해운업 BSI, 운임상승에도 불구하고 최근 유가상승 영향으로 전월대비 소폭 하락한 70(전월비-7)을 기록했다.
컨테이너 부문은 SCFI가 전월대비 83p 상승하면서 체감경기지수는 82(-)를 기록(좋음 0%, 보통 82%, 나쁨 18%)했다.
건화물 부문은 BDI가 전월대비 269P 상승했으나 최근 유가상승으로 체감경기지수는 73(-11)을 기록(좋음 4%, 보통 64%, 나쁨 31%)했다.
유조선 부문은 유가 상승에도 불구하고 VLCC 운임이 조사 이후 최저 수준을 또다시 경신하면서 체감경기지수는 전월대비 4p 하락한 54를 기록(좋음 0%, 보통 54%, 나쁨46%)했다.
경영부문 BIS의 경우 채산성 82(전월비+1), 자금사정 78(-3), 매출 80(-2)을 기록, 전항목에서 부진을 나타냈다
응답기업은 물동량 부족(25%), 불확실한 경제상황(24%)를 주요한 경영 애로사항으로 응답했다. 이어 유가 등 원자재 가격 상승과 운임인하가 각각 15%를 기록했다.
그러나 6월 해운업 BSI 전망치는 81을 기록했다.
전체 응답기업 97개사 중 5%인 5개사만이 6월 업황을 긍정적으로 판단했다. 업종별(컨테이너, 건화물, 유조선)로는 각각 100, 84, 62를 기록했다.
컨테이너 부문의 채산성, 자금사정, 매출은 각각 112, 106, 124를 기록하면서 실적 개선에 긍정적인 반응을 나타냈다.
(쉬핑데일리 2018.06.07.)
9. Panama Canal Breaks Monthly Tonnage Record
The Panama Canal has set a new monthly tonnage record, handling 38.1 million tons of cargo in May 2018.
This marks the third time the Panama Canal has set a new monthly record since its expansion in 2016 as it facilitated the transit of 1,231 vessels last month.
The previous record was established in January 2017, when 1,260 vessels transited 36.1 million tons through the waterway, just a month after setting the record with 35.4 million tons transited by 1,166 vessels in December 2016.
Container ships made up the largest segment in tonnage at 36%, breaking its segment record with 13.8 million tons transited by 229 vessels.
Panama Canal Administrator, Jorge L. Quijano, commented: "This new historical milestone reiterates the positive effect of the Expanded Canal and is further proof of the continued confidence of the maritime industry in the Panama Canal, and the impact it will have on the future of world maritime trade."
Since the development of the larger locks in the canal, the waterway has received approximately 3,800 Neopanamax vessels — half of which have been containerships.
On March 7, 2018 the Panama Canal added an additional reservation slot for Neopanamax vessels, raising the total availability from seven to eight per day.
(Port technology 2018.06.06.)
10. The Most Important Blockchain Companies of 2018
Safenhaven.com, a finance media outlet, has released a list featuring the leading companies working on blockchain that are set to reshape the global economy and bring forth revolutionary trends.
IBM is included on the list, who praised blockchain for its security and transparency and subsequently launched a blockchain business in 2017 — which features 1,500 employees working on projects related to the technology.
IBM has made partnerships with industry giants to bring provide viable blockchain solutions, including shipping liner Maersk to efficiently conduct global trade, American retail company Walmart to track the food supply chain, and a consortium of gold and diamond industry leaders to trace the provenance of finished pieces of jewelry across the supply chain.
High on the list is Global Blockchain Technologies (BLOC), described as a “crypto-currency hedge fund-type entity that enables shareholders to participate in the cryptocurrency market, and also an incubator for blockchain tech.”
BLOC utilizes its impressive roster of technology experts to find applications for blockchain — making a landmark partnership with global computer solution company Hewlett Packard to transform the data storage market — allowing users to profit from excess digital storage space, expanding on the success of companies such as AirBnb and Uber in utilizing the sharing economy.
BLOC has also gained partial ownership of KodakCoin, the world’s first corporate branded crypto currency.
Coming in close behind is the Bank of America, who currently holds more blockchain patents than any other financial firm.
One such patent is for a fully automated blockchain-based system for managing network security.
As a long-term investor in blockchain, the Bank of America has stated that it has spent more money on blockchain technology than any other worldwide bank.
Special mention is also paid to American technology company NVIDIA, who are making progress in the area of AI — recently releasing a cutting-edge hardware and software package to bring autonomous machines to the next-generation of power and operations.
(Port technology 2018.06.06.)
첨부파일
- DAILY NEWS-20180607.docx (126.2K) 32회 다운로드 | DATE : 2018-06-27 09:40:55